-
git - local repository일반 프로그래밍/etc 2022. 4. 7. 21:16
개발자의 필수 도구 중 하나인 깃헙은 버전 관리 시스템인 git을 이용해 다른 개발자들과 협업을 쉽게 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사이트다.
그러한 깃헙에 내가 만든 프로그래밍 파일을 올리기 위해서는 몇 가지 절차가 필요하다.
로컬에서의 설정
먼저 내 컴퓨터에 git이 깔려있는지 확인해야한다.
git --version 커맨드를 입력하면 git이 깔려있을 경우 git의 버전이 나온다. git이 설치되지 않았을 경우 https://git-scm.com/book/ko/v2/%EC%8B%9C%EC%9E%91%ED%95%98%EA%B8%B0-Git-%EC%84%A4%EC%B9%98 를 참조하여 자신의 운영체제에 맞게 git을 설치한다.
깃허브에 올릴 파일들이 있는 디렉터리에 진입하여 git init 명령어로 .git 디렉터리를 생성한다. .git은 숨겨진 디렉터리인데, 여기에 git관련 파일들이 저장된다.
테스트 용도로 파이썬 파일을 하나 만들었다.
git add 파일명을 통해 작업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들을 staging area에 올릴 수 있는데, 옵션값으로 . 을 주면 해당 디렉터리의 모든 파일과 하위 디렉터리를 staging area에 전달한다.
git commit -m "남길 메시지"로 로컬 repository(저장소)에 커밋을 할 수 있다. 커밋을 하게 되면 스냅숏 형식으로 변경점을 저장하고, 로그를 남기게 된다.
git log 명령어를 입력하면 커밋 로그를 볼 수 있는데, 첫 번째 줄은 해쉬값이고 (나중에 복원 등에 사용) 두 번째 줄은 커밋한 사람, 세 번째 줄은 커밋한 날짜와 시간을 나타내며, 맨 밑줄은 커밋할 때 커밋 메시지이다. 커밋 메시지는 간결하게 본인이 작업한 유형과, 작업한 내용을 포함하여야 한다.
여기까지 하면 로컬 저장소에는 자신의 작업물이 저장되어 있지만, 다른 사람들과 협업하려면 이 git 스냅숏을 깃헙에도 올려야 한다.
'일반 프로그래밍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 remote repository (0) 2022.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