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git - remote repository
    일반 프로그래밍/etc 2022. 4. 10. 21:52

    원격 저장소 만들기

    저번에 git 실습을 한 공간인 로컬 저장소(local repository)의 반대 개념으로 원격 저장소(remote repository)가 있다. 대표적으로 깃헙이 있고, 이 깃헙을 이용하면 프로젝트를 여러 사람한테 공유, 협업이 가능하다.

     

    먼저 깃헙에서 새로운 repository를 만든다. 오른쪽 상단의 플러스 버튼을 누른 후 New repository를 클릭한다.

    

    개인 테스트용이기 때문에 퍼블릭이 아닌 프라이빗으로 설정하였다.

    생성을 완료하면 위와 같은 안내문이 나오는데 로컬에서의 설정은 완료했으므로 두번째 문단인 'push an existing~'의 커맨드를 그대로 복사하기만 하면 첫 푸시를 할 수 있다.

     

    순서대로 설명하면, <remote add origin 주소> 명령어는 해당주소를 origin이라는 변수 이름으로 하여 원격 저장소에 추가한다는 명령어이다. 꼭 origin이라고 할 필요는 없지만 일종의 대명사화, 규칙화가 되었기 때문에 협업을 위해서 메인으로 사용할 깃헙 저장소는 origin이라고 명명하는 것이 좋다.

     

    <git branch -M main>은 처음 생성한 branch(줄기)의 이름을 master에서 main으로 바꾼다. master branch는 기둥이 되는, 즉 가장 메인 버전의 저장을 담당하는데, 최근들어 master라는 이름이 인종 차별적이라는 비판을 들어 main으로 바뀌는 추세라고 한다.

     

    마지막 <git push -u origin main>은 origin 주소로 main branch의 git을 업로드 한다. 여기까지 하면 깃헙 저장소에 내 코드나 파일이 올라간다.

     

    명령어들을 순서대로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깃헙 저장소에 업로드가 된다.

     

    아까 명령어를 알려주던 페이지에서 새로고침을 하면, 정상적으로 파일이 업로드된 것을 볼 수 있고, 커밋 메시지도 확인이 가능하다. 새로고침을 하였는데도 계속 명령어 안내 페이지만 나온다면 깃헙 저장소에 업로드가 안된 것이다.

    '일반 프로그래밍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 local repository  (0) 2022.04.07
Designed by Tistory.